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티니핑이 이렇게 떴다고?캐릭터 IP부터 글로벌 마케팅 전략까지

마케팅

by 마케팅베이비 2025. 3. 2. 14:47

본문

반응형

 

N년차 마케터 마생이 입니다! 오늘은 티니핑에대해 분석해볼건데요!

티니핑의 마케팅 전략을 보면, 단순한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**'IP 기반 콘텐츠 비즈니스'**를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는 게 핵심 포인트임. 이 전략을 다른 브랜드나 사례에 대입해보면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?

 

티니핑 마케팅 전략 & 적용 가능한 사례

1) 캐릭터 IP를 중심으로 한 팬덤 형성

티니핑이 성공한 가장 큰 이유는 캐릭터 IP를 중심으로 한 팬덤 구축임. 애니메이션이 단순한 콘텐츠 소비로 끝나는 게 아니라, 캐릭터를 좋아하는 아이들이 굿즈, 장난감, 문구류,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캐릭터를 소비하도록 유도함.

🔹 적용 사례
👉 카카오프렌즈
카카오톡 캐릭터들이 단순한 이모티콘을 넘어 굿즈, 카페, 팝업스토어, 패션 브랜드(무신사 콜라보)까지 확장한 사례.

👉 포켓몬
포켓몬도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카드게임, 완구, 모바일 게임(포켓몬GO), 패션 브랜드(푸마X포켓몬 콜라보) 등으로 확장하면서 IP 비즈니스를 극대화함.

 

2) 감정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 전략

티니핑의 또 다른 강점은 아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감정 캐릭터를 내세워 교육적인 요소를 더한 점.
이런 방식은 단순한 스토리 제공이 아니라, 감정을 전달하면서 부모들에게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게 만듦.

🔹 적용 사례
👉 디즈니의 인사이드 아웃
이 애니메이션도 ‘감정’을 캐릭터화하면서 아이들이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줌. 이후 캐릭터들이 다양한 굿즈와 콘텐츠로 확장되며 IP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됨.

👉 핑크퐁 & 아기상어
단순한 동요가 아니라 ‘아기상어’라는 캐릭터에 유아들의 관심을 집중시키면서 감정적인 연결을 강화함. 이후 완구, 애니메이션, 공연, 게임까지 확장하며 세계적인 IP로 성장.

 

3) 완구 및 캐릭터 상품화 전략

티니핑의 가장 강력한 전략 중 하나는 애니메이션과 동시에 캐릭터 상품을 출시하는 방식.
이 전략 덕분에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애니메이션을 보며 연계 상품을 소비하게 됨.

🔹 적용 사례
👉 LOL 서프라이즈 (L.O.L. Surprise!)
이 브랜드도 티니핑처럼 장난감과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연계해, 아이들이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장난감을 구매하도록 유도함.

👉 디즈니 프린세스 시리즈
디즈니 역시 영화 개봉과 동시에 **프린세스 캐릭터 상품(인형, 의류, 액세서리 등)**을 출시하면서 영화 - 상품 - 테마파크로 연결되는 수익 구조를 만듦.

 

4) 디지털 & 글로벌 확장 전략

티니핑은 넷플릭스, 유튜브, 중국·동남아 시장까지 공략하면서 글로벌 팬층을 넓히고 있음.
특히 유튜브 키즈를 적극 활용한 것이 디지털 전략의 핵심.

🔹 적용 사례
👉 뽀로로 & 타요
뽀로로도 TV 방영 후 유튜브를 적극 활용해 해외 시장을 공략,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며 완구, 공연, 교육 콘텐츠까지 확장.

👉 핑크퐁 & 아기상어
초기에는 유튜브 동요로 시작했지만, 현재는 넷플릭스, TV 애니메이션, 글로벌 완구 시장까지 확장하며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.

👉 코코멜론 (Cocomelon)
유튜브 기반의 유아 콘텐츠 브랜드로, 넷플릭스, 완구, 의류, 테마파크까지 확장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둠.

 

5) 체험 마케팅 & 오프라인 이벤트 활용

티니핑은 단순한 상품 판매가 아니라 뮤지컬, 체험존, 팝업스토어 같은 오프라인 이벤트를 활용해 아이들이 직접 경험하게 만듦.

🔹 적용 사례
👉 디즈니랜드 & 유니버설 스튜디오
디즈니나 유니버설 스튜디오는 단순한 영화·애니메이션을 넘어, 팬들이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테마파크를 운영하며 브랜드 가치를 극대화.

👉 브릭캠프 (레고 체험존)
레고는 단순히 장난감을 파는 것이 아니라, 오프라인에서 레고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‘브릭캠프’, 팝업스토어, 레고랜드 등을 운영하며 브랜드 충성도를 높임.

 

 티니핑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 & 브랜드

티니핑의 성공 사례는 다른 분야에도 적용 가능함.

🔹 키즈 콘텐츠 & 교육 브랜드

  • 핑크퐁 & 아기상어처럼 유아 콘텐츠 + 글로벌 유통망을 활용한 확장 전략 가능.
  • 교육 콘텐츠 브랜드(예: 스마트스터디, 유튜브 키즈 채널 등)도 감정 교육, 공감형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IP 사업 확장 가능.

🔹 패션 & 라이프스타일 브랜드

  • 키즈 패션 브랜드(예: 뉴발란스 키즈, MLB 키즈)도 캐릭터 IP를 활용한 콜라보 라인업 출시 가능.
  • 예를 들어, 티니핑이 키즈 운동화, 백팩, 학용품 브랜드와 협업하면 브랜드 인지도 상승 효과 기대 가능.

🔹 디지털 & 메타버스 콘텐츠

  • 티니핑 캐릭터를 메타버스(예: 로블록스, 제페토)나 NFT 기반 콘텐츠로 확장하면 새로운 수익 모델 창출 가능.
  • 디지털 굿즈(예: 스티커, 이모티콘, 캐릭터 테마 상품) 출시 가능.

 티니핑 성공 전략, 어디까지 확장 가능할까?

티니핑의 마케팅 전략은 IP 기반 캐릭터 비즈니스의 정석이라 볼 수 있음.
이런 방식은 단순히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, 완구, 교육, 패션, 라이프스타일, 메타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용 가능함.

앞으로도 새로운 캐릭터와 시즌이 추가되면서 더 많은 브랜드와 협업할 가능성이 높음.
특히 디지털 & 글로벌 확장, 체험 마케팅, IP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티니핑 같은 성공 사례를 다른 브랜드에서도 재현 가능할 것임. 🔥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